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Militaty vs. Business Strategy

동부전선의 히틀러, 록펠러센터 산 미쓰비시 리더의 독단이 참패를 낳았다

김경원 | 197호 (2016년 3월 lssue 2)

Article at a Glance

 

전쟁 사례: 히틀러와 독소전쟁

1943 7,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군과 소련군 간 벌어진 동부 전선 쿠르스크 전투에서, 히틀러는 사령관인 만슈타인의 의견(: 즉각적인 공격, 예비대 파견)을 잇따라 묵살. 그 결과, 오랜 준비기간과 우세한 전력을 갖추고도 독일군은 막대한 전력 피해를 입고 동부 전선 전체가 무너지는 결과를 초래.

 

경영 사례: 미쓰비시 록펠러센터 인수

일본 미쓰비시는 미국 뉴욕 맨해튼 중심부에 자리잡은 록펠러센터 빌딩군을 소유하고 있는 RGI의 지분 80%를 인수하는 데 총 14억 달러를 지불. 당시 미국 부동산 시장에 대해버블이라는 전망이 많았지만 미쓰비시 경영진은 이를 묵살, 과도한 인수대금을 지급. 향후 입주업체들로부터 받을 임대료를 올려 충당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했지만 미국 경기가 침체기에 빠지면서 임대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고, 결국 RGI 파산보호 신청 제출.

 

<손자병법>모공(謀攻)’편에는난군인승(亂軍引勝)’이라는 말이 나온다. 군주가 군대가 처한 상황을 잘 모르면서 장군에게 명령을 내려 전쟁을 지휘하면 적의 승리를 도와준다는 뜻이다. 기업전략을 수립할 때 기획부서가 영업 분야 등 일선 직원들의 목소리를 무시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만들어진탁상전략은 실행 단계에서 두 가지 문제점을 야기하기 쉽다. 첫째는 전략과 상황의 불일치로 실행 단계에서 엉뚱한 결과가 도출되거나 처음부터 실행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다. 둘째는 현장에서 근무하는 임직원들이 처음부터 소극적으로 참여하거나 무관심으로 일관해 전략 실행의 추진력이 상실될 수 있다. 다음의 전쟁과 경영 사례는 모두 조직의 수뇌부가 현장의 목소리를 무시한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을 밀어붙여 큰 대가를 지불한 경우다.

 

전쟁 사례: 히틀러와 독소전쟁

1941 622일 독일은 180만 명의 병력을 동원해 소련 침공 작전을 개시했다. 히틀러를 위시한 독일군 수뇌부의 판단은 소련 침공 후 2개월 내에 완전한 승리를 거두리라는 것이었다. 1930년대의 대규모 숙청 작업으로 인해 스탈린으로부터 민심이 떠나 있는데다가 장교들이 말살되다시피 한 상태에서붉은 군대의 전투력도 형편없을 것이라 판단했던 것이다. 특히 농노 제도가 오랫동안 유지된 소련의 특성상 대부분의 병사들은 교육받지 못한 농부 출신이었다. 따라서 현대전에 필수적인 장비 조작 및 정비 능력이 없어 포병, 기갑, 항공 등의 전력이 매우 낮을 것이라는 게 독일 수뇌부의 판단이었다.

 

과연 개전 이후 몇 개월간 소련군은 독일군 앞에 연전연패를 당했다. 병사들이 장비를 제대로 다루지 못해 독일군에 의해 파괴된 탱크의 숫자보다 고장 나서 버려진 탱크의 수가 훨씬 많을 지경이었다. 독일군은 특유의전격전을 통해 소련 영토 깊숙이 들어가 여러 도시를 점령했고, 그해 8월부터는 소련의 정신적 수도인 스탈린그라드를 포위하고 공격해 곧 함락시킬 기세였다. 그러나 소련군의 저력은 만만치 않아 그해 11월부터 대반격에 나섰다. 스탈린그라드를 공격 중이던 파울루스 대장의 제6군을 포위한 다음 맹렬하게 공격해 그 이듬해 1월 독일군의 항복을 받아냈고 10만 명 이상을 포로로 잡았다. 독일군의 뼈아픈 첫 패배였다.

 

독일군은 물러서지 않았다. 1943 2월 하순부터 3월 중순까지 하르코프라는 소련 남부의 도시에서는 만슈타인 원수가 이끄는 독일의 남부집단군이 소련군의 52개 사단을 궤멸시켰다. 그 결과 45000명 이상의 전사자를 포함해 8만여 명의 소련군을 사상시키고 600대 이상의 탱크를 파괴했다. 이렇듯 양국의 군대는 공격과 반격을 주고받으며 다음 해에도 치열한 싸움을 이어갔다.

 

그런데 곧 이 싸움의 분기점이 될 만한 사건이 벌어졌다. 때는 1943 75. 소련 영토 깊숙이 자리 잡은 쿠르스크라는 철도 교차지역에서 독일군과 소련군은 모든 전투력을 다 걸고 절체절명의 승부를 벌였다. 쿠르스크는 독일군 지역으로 혹처럼 약 90㎞만큼 툭 밀고 나온 형상을 한 소련군의 점령지였다. 만슈타인이 남쪽의 하르코프를 점령하면서 양군 간 전선의 밑 부분을 파먹은 형상으로 만들면서 생긴 돌출부였다. 이에 히틀러는 집게처럼 이 지역을 남북에서 협공해 끊어낸 다음 떨어진안에 고립된 소련군의 대 병력을 섬멸하려 했다. 이를 통해 정체에 빠진동부 전선의 전세를 돌리려 한 것이다.

 

히틀러는 이 계획에다치타델 작전(Untern- ehmen Zitadelle)’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만슈타인은 최대한 빨리 작전을 개시하자고 제안했다. 하르코프에서 이긴 독일군도 피해가 상당했으나 소련군은 탱크 등 많은 양의 장비를 손실해 전력이 더욱 크게 약화된 상태였다. 이런 소련군이 전열을 정비할 시간을 줘서는 안 된다는 것이었다. 히틀러는 이를 묵살하고 충분한 장비와 병력을 보충받을 때까지 작전을 연기했다. 3월부터 계획된 이 작전을 7월까지 연기한 것이다. 이는 만슈타인의 판단대로 치명적인 오판이었다. 시간을 번 소련군은 이 4개월간 쿠르스크의 전선을 따라 겹겹의 방어선을 쳤다. 수백㎞에 달하는 참호를 파고 탱크를 막을 함정을 수없이 팠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 김경원

    김경원

    -(현) 디큐브시티 대표이사 겸 대성산업 수석 이코노미스트
    -(전) 삼성경제연구소 금융연구실장, 리서치센터 센터장
    -(전) 삼성경제연구소 전무, CJ그룹 전략기획총괄 겸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